Journal of Data Forensics Research (J Data Forensics Res, JDFR)

OPEN ACCESS, PEER REVIEWED

pISSN 3058-9460
eISSN 3058-9479

Instructions for Authors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사단법인 한국데이터포렌식학회가 발간하는 논문지인 “데이터포렌식연구”의 투고논문에 대한 작성방법, 문헌인용방법, 투고절차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제출분야)

1. 투고논문은 다른 학회지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 투고논문은 데이터포렌식과 그 응용분야에 관한 것으로 학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독창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제3조 (투고자격)

1. 본 학회의 회원은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 이때, 회원 중에서 대학교 재·휴학생 이하는 지도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경우에 한한다.

2. 초청 기고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투고할 수 있다.

제4조 (모집공고와 접수)

1. 편집위원장은 매호 발간 시 학회 홈페이지에 이에 관한 사항을 공지하여야 한다.

2. 논문 모집은 원고 마감 기한 내에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이하 ‘투고시스템’)으로 논문을 투고한다. 단, 편집위원장은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제5조 (제출 및 접수방법)

1. 투고자는 논문연구윤리 확인서, 논문저작권 위임동의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투고자는 한국연구재단이 제공하는 KCI 문헌 유사도 검사 서비스를 통한 논문 유사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값을 논문투고시 제출하여야 한다.

3. 투고자는 본 학회가 별도로 정한 심사료를 납부하여야 한다.

4. 편집간사는 논문정보 및 첨부자료가 잘 갖추어졌는지 확인 후 논문이 접수되었음을 투고자에게 통보한다.

5. 편집간사는 논문작성형식을 검토하여 제출된 논문이 상위한 경우 투고자에게 해당 부분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제6조 (결과통보)

1. 편집간사는 편집위원회에 의한 논문게재여부의 결정을 투고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한다.

2. 투고논문이 편집위원회에 의해 게재 결정되면 본 학회는 별도로 정한 규정에 의하여 투고자에게 원고료를 지급할 수 있다.

3. 투고논문이 편집위원회에 의해 게재 결정되면 투고자의 신청에 의해 논문게재예정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

제7조 (사용언어 및 분량)

1. 투고논문은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여야 하며 요약문은 영문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2. 투고논문은 A4 용지 기준으로 그림과 표를 포함하여 25면 이내로 작성한다.

제8조 (작성규칙)

1. 투고용(심사용) 논문은 줄간격 160%, 1단으로 작성하여 한글 워드프로세스로 작성한 후 PDF로 변환된 파일을 제출한다. 이때, 저자의 소속 및 인적사항을 기재하지 않는다.

2. 게재용 논문은 줄간격 160%, 1단으로 작성하여 한글 워드프로세스 파일로 제출한다. 이때 모든 저자의 인적사항과 반명함 크기의 사진, 간단한 약력(연구분야포함)을 기재한다. 단, 저자가 요구할 경우 사진은 제외할 수 있다.

3. 자세한 논문 작성 규칙은 [별지1] 에 따른다.

제9조 (논문구성)

1. 투고 원고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구성 및 배열되어 있어야 한다.

가. 제목
나. 저자명
다. 영문제목
라. 영문저자명
마. 국문초록
바. 주제어
사. 영문초록
아. 영문 주제어
자. 본문
차. 참고문헌
카. 저자소개

2. 본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I. 로마숫자 (문체부 제목 돋음체 11pt, 좌측정렬, 장평 95%, 자간 –4%)
1.1. 아라비아숫자 (문체부 제목 돋음체 10pt, 장평 95%, 자간 –5%)
1.1.1. 아라비아숫자 (문체부 제목 돋음체 10pt, 장평 95%, 자간 –5%)
    본문 (문체부 바탕체 10pt, 장평 95%, 자간 –5%, 줄간격 160%)

제10조 (저자작성규칙)

1. 저자들의 소속기관이 두 개 이상일 경우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성명 뒤와 소속기관 앞에 위첨자로 표시하고 소속기관 뒤에는 직위를 표시한다.

김갑동1, 이을서2

1한국대학교 교수, 2한국연구소 연구원

2. 영문 성명은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은 뒤에 써야 한다.

제11조 (인용규칙)

1.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만으로 제한한다. 본문에서 인용한 참고문헌 번호는 인용문 옆에 대괄호([ ])를 하여 그 안에 기입한다.

2. 동일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 순으로 나열한다. 동일한 저자명과 동일한 출판년도가 있을 경우에는 출판년도 뒤에 a, b, c…를 추가한다.

3. 참고문헌은 아래의 작성 규칙을 따르되, 해당 정보를 알 수 없는 참고문헌의 경우, 독자의 이해 및 검색을 돕기 위해 저자가 자율적으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에 DOI가 있는 경우에는 DOI를 표기하는 것을 권장한다. DOI는 하이퍼링크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체 주소를 기재하고, 마지막에 마침표를 추가하지 않는다.

4. 저자명은 성과 이름의 이니셜로 기재한다. 저자가 3명까지는 모두 표기하고, 3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3명까지 표기하고, et al.을 추가한다.

한글 성명이 홍(성) 길동(이름)인 경우, 영문 성명은 아래의 3가지 예로 쓸 수 있음. 각각의 경우에 아래와 같이 표기.

– Gildong Hong: Hong G
– Gil-Dong Hong: Hong GD
– Gil Dong Hong: Hong GD

5. 참고문헌의 저자가 기관이고, 기관의 약어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약어 뒤 괄호 안에 전체를 풀어쓴다.

[1]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21. Guidelines for data security. NIST Technical Report 800-145.

6. 참고문헌은 그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이 기재한다. 아래에 설명되지 않은 참고문헌에 대해서는 저자명, 연도, 제목 순으로 작성하되, 참고문헌의 각 항목, 저자명, 연도, 제목, 발행기관 등은 마침표(.)로 구분하고, 해당 항목 내 구분, 예를 들어, 발행기관과 소재지는 쉼표(,)로 구분한다.

학술지

학술지명은 전체를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단, 학술지가 제시하는 학술지명의 약어가 있는 경우, 약어로 대체할 수 있다. 페이지 대신 아티클 ID(혹은 번호)를 표기하는 학술지의 경우에는 페이지 대신 아티클 ID(혹은 번호)를 기재한다. 영문 제목이 제공되지 않는 한글 학술지의 경우, 영어로 번역한 논문 제목 뒤의 괄호 안에 한글 제목을 기재한다.

저자명. 연도. 제목. 학술지명, 권(호), 페이지(혹은 아티클 ID). DOI

[2] Kim JS, Rodriguez L, Ahmed M. 2020.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real-time crime pattern prediction. Journal of Public Safety Data Science, 19(2), 218-233. https://doi.org/10.0000/journal.xxxx

[3] Sebei H, Taieb MAH, Aouicha MB. 2018. Review of social media analytics process and Big Data pipelin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ining, 8, 30. https://doi.org/10.1007/s13278-018-0507-0

단행본

인터넷의 발전으로 출판사가 검색 가능하고, 다수의 도시 및 국가에 위치한 출판사를 고려하여, 출판사의 소재지는 표기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저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출판사의 소재 도시와 국가 정보를 출판사 명 뒤에 쉼표(,)를 추가하고, 기재할 수 있다.

저자명. 연도. 도서명, Edition, pp. 페이지. 출판사명.

[3] Park D. 2020. Data-Driven Emergency Response: Optimizing Public Safety, 2nd ed, pp. 156-173. Springer Science.

단행본의 챕터 혹은 일부

저자명. 연도. 챕터명. In: 편집자명, editor(s). 도서명, Edition, pp. 페이지. 출판사명.

[4] de Klerk S, van Noord S, van Ommering C. 2019.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Data Forensics. In: Veldkamp B, Sluijter C, editors. Theoretical and Practical Advances in Computer-based Educational Measurement. Methodology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Assessment. Springer, Cham. https://doi.org/10.1007/978-3-030-18480-3_20

학위 논문

저자명. 연도. 논문명. 학위. 대학, 도시, 국가.

[5] Lee JW. 2017. A study on an efficient hand gesture recognition method using 3D-CNN [3D-CNN 을 이용한 효율적인 손 제스처 인식 방법에 관한 연구].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학술대회 자료

학술대회의 개최장소는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해당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생략할 수 있다. 참고문헌을 인터넷 주소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경우, 인터넷 주소를 추가하여 기재하는 것을 권장한다. 인터넷 주소 뒤에는 마침표를 추가하지 않는다.

저자명. 연도. 제목. 학술대회명 혹은 학술대회 논문집명, 개최장소, pp. 페이지.

[6] Nakamura H, Johnson E, M. Al-Fayed M. 2020. AI-powered predictive analytics for disaster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Data Science for Public Safety, Seoul, pp. 82-86.

기술보고서

기술보고서의 기관명, 도시, 국가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기관이 다수의 도시에 위치한 경우, 국가만 기재할 수 있다.

저자명. 연도. 제목. 기관명, 도시, 국가. 기술문서 번호, 페이지.
[7] Fernandez RT, Lee KO. 2020. Real-time data fusion for enhanced situational awareness in urban environm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Technical Report PSDA-28-0542.

웹사이트

웹사이트 주소에 접속한 일자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인터넷에 게시된 보고서, 신문기사 등과 같이 접속일에 따라 참고문헌의 본질적인 내용이 변하지 않는 경우, 접속일자를 생략할 수 있다. 웹사이트 주소 뒤에는 쉼표나 마침표를 추가하지 않는다.

저자명. 연도. 제목. 웹사이트명(혹은 기관명). Available at: 웹사이트 주소 accessed on 접속일(연도. 월. 일.).

[8] National Police Agency. 2024. Criminal Indictments for Relationship Violence. Public Data Portal. Available at: https://www.data.go.kr/data/15095758/fileData.do accessed on 2024. 10. 26.

프리프린트

저자명. 연도. 제목. 프리프린트명:프리프린트 ID. DOI

[9] Yang X, Sun K, Xin H, et al. 2024. CRAG-Comprehensive RAG Benchmark. arXiv:2406.04744. https://doi.org/10.48550/arXiv.2406.04744

판례

재판법원, 재판연월일, 선고(판결) 혹은 결정, 사건번호의 순서로 기재. 해외 판례의 경우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표기방법 사용

[10] Supreme Court of Korea, 2020. 10. 17. 2020do6853.

제12조 (기타자료의 표기)

1. 표와 그림의 제목은 영어로 <Table 1>, <Figure 2>의 방식으로 전편을 통하여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표와 그림 아래 가운데 정렬하여 표기하고 문체부 돋음체 8pt, 진하게 표기한다.

2. 표와 그림의 출처가 존재할 경우, 본문과 동일한 형식으로 표기한다.

3. 표 내의 글자는 문체부 돋음체, 9pt 표기하고 머리글 행의 배경색은 “하양 15% 어둡게” 칠하며, 표의 세로선은 표시하지 않는다.